<p></p><br /><br />사실 큰 게 아니라 할머니들 좀 편하게 지내셨으면 하는 게 많은 후원자들 바람인데요. <br> <br>보신 것처럼 나눔의집 운영진이 시정 약속을 했지만 나아진 게 별로 없습니다. <br> <br>이사회 관계자는 왜 변화가 없는지 묻자 코로나 19 핑계를 댔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남영주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해 8월 매년 수십 억원의 후원금이 들어와도 할머니들의 생활은 나아진게 없다는 직원들의 문제제기에 나눔의집 법인 이사회 관계자는 필요한 물건 목록을 작성하면 지출하겠다고 약속합니다. <br> <br>[나눔의집 법인 이사회 관계자(지난해 8월] <br>"할머니가 뭐가뭐가 필요한가 그 필요한 부분들을 가지고 리스트 정리를 하세요. 리스트를 정리해서 그 부분은 저희가 얼마든지 바로 건의를 드릴게요." <br> <br>그동안 할머니들에게 돈을 못 쓴 건 제대로 된 사업계획이 이사회로 올라오지 않아서라며 운영진을 탓합니다. <br> <br>[나눔의집 법인 이사회 관계자(지난해 8월)] <br>"올라온 사업들이 미진해가지고 솔직히 우리 소장님 민망할 정도로 이사회에서 깝니다. 사업계획서가 없기 때문에 승인이 안 되는 부분이 있어요." <br> <br>할머니들의 외식 횟수나 쇼핑 비용을 늘려 달라는 요구에는 노력하겠다면서도 확실히 선을 긋습니다. <br> <br>[나눔의집 법인 이사회 관계자 (지난해 8월)] <br>"할머니들이 이야기할 때마다 다 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." <br> <br>채널A는 지난해 8월 내부회의에서 개선을 약속하고도 아직까지 변화가 없는 이유를 물었습니다. <br> <br>법인 이사회 측은 "시설에서 올린 사업계획이 부실해 지난해 연말 예산 이사회를 연기했고, 이후 코로나19 때문에 이사회를 다시 열지 못해서"라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[나눔의집 법인 이사회 관계자] <br>"서류를 다시 만들어오라고. 그러다가 이번에 코로나 그런 걸로 해 가지고 (법인 이사회가) 못 열렸죠." <br> <br>이사회와 운영진, 직원들의 갈등과 반목이 계속되는 동안,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남아있는 시간은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. <br> <br>dragon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강 민